Django 4.1 릴리스와 주요 변경 사항

🗒 기사, 2022-08-08 - 2022년 8월 3일에 Django 4.1이 출시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Django 4.1에 추가된 기능과 바뀐 점을 알아보려 합니다. 릴리스 노트만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기능엔 설명을 조금 보태었습니다.

도커 컨테이너 5분 만에 무료로 배포하기(feat. fly.io)

🗒 기사, 2022-08-01 - fly.io가 제공하는 환경에 도커 컨테이너를 배포해봅니다. 첫 배포까지 5분 정도면 충분하고, 이후 업데이트에는 10초가 채 걸리지 않을 거예요. 게다가 무료 티어 성능도 꽤 좋아요!

Django Rest Framework 레시피

🗒 기사, 2022-06-20 - Django Rest Framework를 사용할 때 유용한 레시피를 소개합니다.

Django 4.0 릴리스와 주요 변경 사항

🗒 기사, 2021-12-31 - 2021년 12월 7일에 Django 4.0가 출시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Django 4.0에 추가된 기능과 바뀐 점을 알아보려 합니다. 릴리스 노트만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기능엔 설명을 조금 보태었습니다.

Django 3.2 릴리스와 주요 변경 사항

🗒 기사, 2021-05-28 - 2021년 4월 6일에 Django 3.2가 출시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Django 3.2에 추가된 기능과 바뀐 점을 알아보려 합니다. 릴리스 노트만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기능엔 설명을 조금 보태었습니다.

구글 워크스페이스, 새로운 기능 더 빨리 사용하기(rapid release)

🗒 기사, 2021-05-28 - 구글 워크스페이스(Google Workspace, 구 G Suite)에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되고 있습니다. 이 기능들을 조금 더 빨리 사용하기 위해 Rapid Release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pple M1 지원 도커 데스크탑(Docker Desktop) 업데이트 - 이제 쿠버네티스(Kubernetes) 실행 가능

🗒 기사, 2021-02-20 - 도커 데스크탑(Docker Desktop)은 윈도우나 맥에서 도커를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올인원 도구입니다. 2020년 말 애플에서 Arm 기반 M1 칩을 발표하면서 현재 도커 사에서는 M1 칩을 지원하는 도커 데스크탑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2월 17일 릴리스된 프리뷰 버전에서는 이제 쿠버네티스를 실행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AWS 도쿄 리전(ap-northeast-1) 장애 발생, 특정 AZ 일부 구역의 온도 상승이 원인

🗒 기사, 2021-02-20 - 2021년 2월 19일 오후 11시부터 20일 새벽까지 AWS 도쿄 리전에서 대규모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AWS Status에 따르면 한국 시간 기준 20일 0시 9분부터 apne1-az1의 일부 EC2 인스턴스와 EBS 볼륨이 정상 동작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5시 30분 경에는 대부분의 장애가 복구된 것으로 보이며, 12시 현재는 정상 상태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GPG(GNU PG)를 이용해 git 커밋에 서명하는 방법

🗒 기사, 2021-02-15 - 깃허브(GitHub)에서 커밋을 읽다보면 Verified 된 커밋을 발견하곤 합니다. Verified된 커밋을 만들려면 GPG 키로 커밋에 서명을 해야합니다. 이 글에서는 gpg를 사용해 GPG 키를 생성하고 깃 커밋에 서명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커맨드라인 사용법: 따라하며 배우는 리눅스 명령어와 관습들

🗒 기사, 2021-01-29 - 프로그래밍이나 서버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도 함께 입문하게 됩니다.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는 아주 강력하지만, 다양한 관습들과 전제들이 존재하고 있어서 입문자들에게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바로 이러한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와 셸의 기초와 관습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부디 커맨드라인 입문길이 즐거운 여정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ip로 직접 만들어보는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와 브리지 네트워크 - 컨테이너 네트워크 기초 2편

🗒 기사, 2021-01-28 -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는 프로세스 간의 네트워크를 격리해주는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리눅스에서는 ip를 사용해 네트워크를 조회하는 것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를 제어하는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 사용법과 함께 veth(가상 인터페이스)와 가상 브리지로 직접 컨테이너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해봅니다.

UTS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한 호스트네임 격리 - 컨테이너 네트워크 기초 1편

🗒 기사, 2021-01-26 - 컨테이너는 하드웨어 가상화 없이 프로세스를 격리하는 기술로 루트 디렉터리 격리와 유니온 마운트를 비롯해 리눅스 네임스페이스와 같은 리눅스의 기능들을 활용합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컨테이너의 네트워크 격리와 관련된 기술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호스트네임을 격리하는 UTS 네임스페이스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베이그런트(Vagrant) 튜토리얼: 개발 환경 공유와 가상 머신 관리 도구

🗒 기사, 2021-01-25 - 베이그런트(Vagrant) 미셸 하시모토가 루비 언어로 개발한 가상 머신 기반 개발 환경 관리 도구입니다. 커맨드라인을 통해 가상 머신을 관리하거나, 가상 머신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개발환경을 팀원들 간에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베이그런트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Vagrantfile 작성 방법, 개발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적인 프로비저닝 방법을 소개합니다.

도커 이미지 빌드와 Dockerfile 기초

🗒 기사, 2021-01-15 - 도커(Docker)에서 이미지 빌드는 컨테이너와 함께 가장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미지는 컨테이너의 기반이 되는 파일들의 집합입니다. 사용자는 리눅스 배포판 이미지를 기반으로 자유롭게 프로비저닝을 하고 커스텀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도커 이미지의 기본적이 빌드 원리와 Dockerfile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개발자를 위한 애플 실리콘 M1 맥 세팅

🗒 기사, 2021-01-14 - Apple에서는 얼마 전 ARM 기반의 애플 실리콘 M1 맥 라인업을 공개하였습니다. M1 맥북에 개발환경을 구성해본 경험을 공유합니다. iTerm2, oh-my-zsh- Homebrew, Docker 등

2020 한국의 주요 IT 컨퍼런스 다시 보기

🗒 기사, 2021-01-11 - 2020년 한 해 동 IT 컨퍼런스들이 열렸습니다. 올해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특히 온라인으로 전환된 행사가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영상으로 다시 보기 가능한 2020년의 컨퍼런스들을 모아서 소개합니다.

44BITS 2020년 결산 및 2021년 새해 인사

🗒 기사, 2021-01-11 - 44BITS에서는 블로그, 팟캐스트,유튜브를 통해서 IT, 프로그래밍, 클라우드를 주제로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2021년 새해를 맞아 2020년 44BITS 활동을 정리하고 인기 있었던 컨텐츠들을 소개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파이썬(Python) 3.9 릴리스와 주요 변경 사항

🗒 기사, 2020-10-11 - 2020년 10월 7일에 파이썬 3.9가 출시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파이썬 3.9에 추가된 기능과 바뀐 점을 알아보려 합니다. 릴리스 노트만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기능엔 설명을 조금 보태었습니다.

AWS CLI 팁: 페이저 없이 실행 결과 출력하기

🗒 기사, 2020-10-01 - 지난 2월 AWS CLI v2가 정식 공개되었습니다. 기존 AWS CLI 사용법과 크게 달라진 부분은 없습니다만, 미묘하게 달라진 것 중에 하나가 출력 결과를 볼 때 기본적으로 less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이런 프로그램을 페이저(pager)라고 하는데, 이 글에서는 출력 결과를 볼 때 페이저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쿠버네티스에서 아마존 EFS 사용하기: efs-provisioner

🗒 기사, 2020-10-01 - 아마존 EFS(Amazon EFS)는 AWS에서 제공하는 매니지드 NFS 서버로 여러 서버에서 동시에 같은 파일을 공유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EF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efs-provisioner의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베어(Bear): 최고의 마크다운 노트 애플리케이션

🗒 기사, 2020-09-03 - 베어(Bear)는 샤이니 프로그(Shiny Frog)에서 개발한 맥OS와 iOS용 노트/글쓰기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베어는 미려한 디자인을 자랑하는 마크다운 에디터입니다. 에디터에서 마크다운 문법을 해석해 텍스트를 서식처럼 다룰 수 있으며, 해시태그와 내부링크 기능을 통해 문서들을 조직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루비 온 레일스(Ruby on Rails)에서 데이터베이스 Advisory Locks 비활성화하기

🗒 기사, 2020-08-29 - 루비 온 레일스(Ruby on Rails)에서는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실행할 때, 중복 실행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Advisory Locks를 사용합니다. 커넥션 풀링을 위해 PgBouncer를 트랜젝션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Advisory Locks가 발생해 마이그레이션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레일스 설정에서 Advisory Locks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맥OS에서 MagickCore나 MagickWand.h 문제로 rmagick이 설치되지 않을 때

🗒 기사, 2020-08-19 - RMagick은 ImageMagick에 의존적인 루비 젬입니다. 오래된 버전의 RMagick을 설치하는 경우 MagickCore나 MagickWand.h가 없다는 등의 에러 메시지가 발생하며 설치가 실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ImageMagick 구 버전을 사용해 환경을 구축하면 문제를 우회할 수 있습니다.

1Password 비지니스 플랜 구독 시, 패밀리 플랜 무료

🗒 기사, 2020-07-05 - 패스워드 매니저 앱 1패스워드(1Password)에서는 개인용 플랜 뿐만 아니라 비지니스를 위한 플랜을 제공합니다. 이 중에서 비지니스 플랜을 구독하는 경우 이에 속한 계정에서 별도의 패밀리 계정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WS 라우트53(Route53), 다른 계정으로 호스팅 영역 DNS 레코드 이전하기

🗒 기사, 2020-07-01 - AWS 라우트53(Route53)에서는 도메인에 연결된 호스팅 영역(Hosted Zone)에서 DNS 레코드를 관리합니다. 다른 계정으로 도메인을 이전하더라도 호스팅 영역은 자동적으로 이전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진행해야합니다. 이 글에에서는 AWS53의 호스팅 영역을 이전하는 간단한 예제를 소개합니다.

AWS 라우트53(Route 53) 다른 계정으로 도메인 이전하기

🗒 기사, 2020-07-01 - AWS 라우트53에 등록된 도메인을 AWS의 다른 계정으로 옮기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WS에서는 transfer-domain-to-another-aws-account와 accept-domain-transfer-from-another-aws-account API 2개로 라우트53에 등록된 도메인을 손쉽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Mackup으로 시스템 설정 파일(dotfiles) 백업하고 복원하기

🗒 기사, 2020-06-28 - 맥업(Mackup)은 드랍박스를 기반으로 시스템 설정 파일 관리를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애플리케이션 별 설정 파일을 드랍박스에 저장하고 컴퓨터 간에 손쉽게 동기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드랍박스 이외에도 구글 드라이브, 아이클라우드와 로컬 디렉터리를 지원합니다.

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 2) 설치 및 사용 방법

🗒 기사, 2020-06-15 - 지난 5월 윈도우10의 대규모 업데이트가 있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WSL2 정식 릴리스가 포함되어있습니다. WSL은 경략 가상화 기술을 통해 윈도우에서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으로, WSL2는 WSL에 비해서 획기적인 성능 개선이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WSL2를 설치하고 기본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aws-vault 사용법: AWS의 인증 정보 안전하게 사용하기

🗒 기사, 2020-06-13 - aws-vault는 99디자인스(99designs)에서 개발한 AWS 인증 정보를 로컬 환경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운영체제 별로 제공되는 안전한 공간에 인증정보를 저장해 플레인 텍스트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임시 세션을 사용해 인증 정보 유출의 위험성을 최소화해줍니다.

슬랙(Slack)으로 특정 조건의 이메일을 받아보자!

🗒 기사, 2020-05-25 - 회사나 단체에서는 이메일 그룹을 사용해 여러 사람이 이메일을 받아보곤 합니다. 하지만 메일을 모두가 받아보고 이에 답변할 사람을 정해야하는 등 추가적인 번거로움이 발생하기도합니다. 그룹 이메일로 전달된 내용을 슬래과 연동해서 받아본다면 보다 수월하게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슬랙 이메일 앱 연동 방법을 소개하고 Gmail의 필터 기능을 사용해 특정 조건의 이메일을 슬랙에 전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구글(Google) 계정의 2단계 인증 활성화하기: 1Password와 구글 OTP 활용

🗒 기사, 2020-05-20 - 2단계 인증은 비밀번호 인증 이외에 추가인증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2단계 인증에 대해서 소개하고, 구글 계정에서 2단계 인증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2단계 인증을 지원하는 다양한 앱들이 있는데, 1패스워드(1Password)와 구글 OTP(Google OTP)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사이드킥(Sidekiq) 큐에서 태스크나 예약작업 삭제하기

🗒 기사, 2020-05-17 - 사이드킥(Sidekiq)은 레디스(Redis)를 기반으로 루비 온 레일스(Ruby on Rails)의 비동기 처리를 지원합니다. 의도치 않게 큐에 작업이나 예약 작업이 등록되었을 때 삭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Node.js에서 전문 RSS 피드 만들기(feat. Readability)

🗒 기사, 2020-04-26 - Node.js 라이브러리 Readability는 파이어폭스의 읽기 모드를 독립적으로 구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특정 URL의 기사를 본문만 추출해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readability를 활용해 요약 RSS를 전문 RSS를 만들어봅니다.

도커(Docker) 트러블슈팅 - 컨테이너 실행환경 디버깅

🗒 기사, 2020-04-05 - 도커를 사용하다 보면 컨테이너의 실행환경을 디버깅해야하는 일이 자주 생깁니다. 이미지, 살아있는 컨테이너, 심지어는 죽어있는 컨테이너까지 docker run, docker exec, docker commit 명령어를 사용해 컨테이너의 실행환경을 탐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WS CLI v2에서 아마존 ECR 로그인 방법 변경

🗒 기사, 2020-04-05 - 지난 2월 AWS CLI v2가 릴리스 되고, 아마존 ECR 로그인 방법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기존에는 get-login 명령어를 사용해 ECR에 로그인을 했습니다만, v2에서는 이 명령어가 사라지고 그 자리를 get-login-password가 대체합니다. 이 글에서는 AWS CLI의 ECR 로그인 원리와 get-login-password 사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Algo로 개인 VPN 서버 구축하기(요약판)

🗒 기사, 2020-04-05 - Algo는 클라우드에 쉽게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개인용 VPN 서버입니다. 이 글에서는 아마존 라이트세일에 VPN 서버를 셋업하는 방법을 요약해서 소개합니다.

트리 스타일 탭(Tree Style Tab): 파이어폭스의 수직 탭 확장

🗒 기사, 2020-03-22 - 트리 스타일 탭(Tree Style Tab)은 파이어폭스의 탭 목록을 사이드바에 수직으로 보여주는 확장 기능입니다. 많은 탭을 열어놓으면 웹 브라우저를 관리하기가 힘들어지는데, 트리 스타일 탭을 사용하면 좀 더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트리 스타일 탭을 소개하고, 파이어폭스의 기본 탭 바를 가리는 방법도 함께 다룹니다.

도커(Docker) 입문편: 컨테이너 기초부터 서버 배포까지

🗒 기사, 2020-03-22 - 도커(Docker)는 2013년 등장한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도구입니다. 도커를 사용하면 컨테이너를 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이미지를 만들어 외부 서버에 배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글은 도커를 시작하는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도커의 기본 기능에 대해서 소개하고, 도커 허브와 디지털 오션을 사용해 직접 만든 이미지로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테라폼(Terraform) 기초 튜토리얼: AWS로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대표 이미지

테라폼(Terraform) 기초 튜토리얼: AWS로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 기사, 2020-03-14 - 테라폼(Terraform)은 인프라스트럭처를 선언적인 코드로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테라폼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사용해 AWS 리소스를 정의하고 프로비저닝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파이썬 날짜시간 모듈(datetime) 치트시트

🗒 기사, 2020-02-11 - 파이썬(Python)의 datatime 클래스를 사용하는 유용한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시간 계산에 필요한 용어와 동작원리도 함께 살펴봅니다.

도커(Docker) 컨테이너는 가상 머신인가요? 프로세스인가요?

🗒 기사, 2020-01-13 - 도커 컨테이너는 가상 머신과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립적인 파일 시스템 환경을 가지고 있고, 프로세스 아이디도 호스트와 다르고, 네트워크도 격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 가상 머신은 아닙니다. 이 글에서는 도커 컨테이너가 가상머신과 어떻게 다르고, 호스트 입장에서는 단순히 프로세스라는 것을 직접 확인해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루비(Ruby) 2.7 릴리스 및 주요 변경 사항: 패턴 매칭 문법, REPL 개선, 위치 인자와 키워드 인자 분리, 번호 파라미터 등

🗒 기사, 2020-01-08 - 프로그래밍 언어 루비의 메이저 릴리스 2.7 버전도 어김없이 크리스마스에 찾아왔습니다. 루비 2.7은 3.0으로 넘어가기 전의 2.x의 마지막 버전이 될 예정입니다. 이번 버전에는 패턴 매칭, 위치 인자와 키워드 인자 분리(3.0 도입 예정), 번호 파라미터, REPL 개선 등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개인 VPN 서버 클라우드 구축 가이드(feat. Algo)

🗒 기사, 2020-01-07 - Algo는 클라우드에 쉽게 설치해서 사용가능한 VPN 서버입니다. 이 글에서는 설치형 개인 VPN Algo의 설치 원리를 소개하고 아마존 라이트세일(Amazon Lightsail)에 배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그리고 iOS와 맥OS에서 와이어가드(WireGuard) 클라이언트로 VPN 서버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 Amazon Web Service) 계정 생성하기

🗒 기사, 2020-01-06 - 아마존 웹 서비스는 컴퓨팅 자원과 다양한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을 만들어야합니다. 이 글에서는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을 만들고, AWS의 프리티어와 계정 생성 이후 추가로 해야할 일들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유니버설 클립보드: 맥북(MacBook)과 아이패드(IPad) 간에 클립보드 공유해서 복사 붙여넣기

🗒 기사, 2020-01-02 - 애플의 기기들 간에는 공통 클립보드(Universal Clipboard) 기능을 사용해 클립보드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같은 아이클라우드(iCloud) 계정을 사용하고 이와 더불어 추가적인 몇 가지 설정을 더 해주어야합니다. macOS와 iOS에서 공통 클립보드를 활성화하는 방법과 핸즈오프 기능을 소개합니다.

AWS 리인벤트(AWS re:Invent) 참가 가이드: 키노트부터 리플레이까지

🗒 기사, 2019-12-31 -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AWS re:Invent(AWS 리인벤트)를 알차게 보내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수많은 일정과 인파 속에서 헤메지 않을 방법은 무엇일까요? 직접 리인벤트에 참석하고 온 경험을 정리해보았습니다.

44bits 첫 번째 밋업 소식: AWS re:Invent 2019 회고

🗒 기사, 2019-12-27 - 지난 12월 18일 44bits의 첫 번째 밋업을 열었습니다. 첫 번째 모임의 주제는 re:Invent 2019 회고였습니다. 리인벤트 참가 후기(raccoony), 11월 이후 AWS 주요 업데이트 정리(nacyot), re:Invent 2019 머신러닝 발표 정리(유경윤)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44bits 프로젝트 2019년 결산: 블로그, 팟캐스트, 유튜브 인기 컨텐츠 등

🗒 기사, 2019-12-26 - 44bits의 2019년 활동 보고서입니다. 44bits에서는 2018년 7월 블로그를 시작으로, 팟캐스트, 유튜브 등에서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각 채널의 올해 인기 있었던 컨텐츠들과 앞으로의 계획을 공유합니다.

만들면서 이해하는 도커(Docker) 이미지: 도커 이미지 빌드 원리와 OverlayFS

🗒 기사, 2019-12-24 - 도커 이미지는 유니온 마운트 기술을 활용해 계층화된 레이어들로 구성되며, 도커 레지스트리를 사용해 쉽고 효율적인 공유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 글에서는 도커 이미지가 저장되는 방식과 도커 이미지 빌드의 원리, 그리고 그 바탕이 되는 유니온 마운트 구현체의 하나인 OverlayFS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다시 보는 2019 한국의 주요 IT 개발 컨퍼런스 모음

🗒 기사, 2019-12-23 - 2019년 한 해 동 다양한 IT/개발 컨퍼런스들이 열렸습니다. 그 중에서 영상으로 다시 보기 가능한 컨퍼런스들을 모았습니다. 44bits 개발 세미나, 파이콘 2019, AWS 서밋 서울,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 DevOps 밋업, if (kakao) dev, 데뷰 2019 등.

유비쿼티 유니파이(Ubiquiti Unifi) 제품 기반 홈 네트워크 구축기

🗒 기사, 2019-11-18 - 이번에 홈 네트워크를 ipTime에서 유비쿼티 유니파이(Ubiquiti UniFi) 제품들로 변경했습니다. Unifi 시큐리티 게이트웨이, UniFi 스위치, Unifi AP AC Lite, UniFi 클라우드키 젠2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장비들을 셋업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AWS 솔루션 아키텍트 어소시에이트 자격증 취득 후기 - AWS 공인 자격증 준비와 합격자 혜택

🗒 기사, 2019-10-21 - 2019년 10월 AWS 솔루션 아키텍트 어소시에이트 자격증 취득했습니다. AWS 공인 자격증의 종류와 시험 준비에 대해서 소개하고, 합격자 혜택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파이썬 테스트를 도와주는 Faker와 Factory Boy

🗒 기사, 2019-10-01 - 파이썬 테스트용 임시 데이터를 만들 때 유용한 페이커(Faker) 라이브러리를 소개합니다. Django 테스트용 임시 데이터를 생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팩토리 보이(Factory Boy)도 함께 다룹니다.

tfenv로 테라폼(Terraform) 버전 관리하기

🗒 기사, 2019-09-30 - 테라폼을 여러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면 다수의 버전이 필요한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때 tfenv를 사용하면 손쉽게 테라폼 버전을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글에서는 tfenv를 사용해 테라폼의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HashiCorp 한국 사용자 모임 네 번째 밋업 개최 및 발표 자료

🗒 기사, 2019-09-20 - 2019년 9월 18일에 열렸던 하시코프 한국 사용자 모임 네 번째 밋업의 발표를 간단한 요약과 함께 정리했습니다.

싱크띵(Syncthing), 여러 기기간 파일 동기화 애플리케이션: 드롭박스 대신 무료로 가능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 기사, 2019-09-08 - 싱크띵(Syncthing)은 드롭박스와 같은 여러 기기간에 파일을 동기화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싱크띵은 오픈소스로 개발되고 있으며 동기화하지 않을 파일 패턴을 지정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싱크띵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HashiCorp 한국 사용자 모임 세 번째 밋업 개최 및 발표 자료

🗒 기사, 2019-07-17 - 2019년 7월 10일에 열렸던 하시코프 한국 사용자 모임 세 번째 밋업의 발표를 간단한 요약과 함께 정리했습니다.

만들면서 배우는 아마존 VPC(Amazon VPC) 입문: AWS 네트워크의 기초

🗒 기사, 2019-05-14 - 아마존 버추얼 프라이빗 클라우드(Amazon VPC)는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의 가장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이자 리소스입니다. AWS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리소스들은 아마존 VPC를 기반으로 실행됩니다. 따라서 VPC를 이해하고 있어야 AWS 서비스를 십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본 VPC와 같은 구성을 직접 만들어보면서 VPC의 기본 개념과 리소스들을 소개합니다.

Write the Docs 서울 밋업 준비 기록

🗒 기사, 2019-05-03 - 2019년 3월에 열린 Write The Docs 서울의 밋업을 준비하면서, 디자이너 없이 꾸역꾸역 대표 이미지와 스티커, 현수막, 배너를 직접 제작한 경험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도커(Docker) 컴포즈를 활용하여 완벽한 개발 환경 구성하기

🗒 기사, 2019-03-20 -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문서화를 해두어도 누군가 계속 신경쓰지 않으면 내용이 낡기 마련이고, 계속 신경 쓰자니 이 또한 쉽지 않죠. 어떻게 하면 손쉽게 개발 환경을 구성하고, 곧바로 개발 과정에 들어갈 수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도커를 사용하여 개발 환경 구성을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젯브레인 IDE로 쾌적한 테라폼(Terraform) 코딩 환경 구축

🗒 기사, 2019-02-26 - 테라폼(Terraform)은 클라우드 시대에 각광받고 있는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도구입니다. 대다수 에디터들이 코드 하이라이팅이나 자동 완성 등을 지원하지만, 아직까지 인텔리J(IntelliJ) 만큼 강력한 지원 기능을 본 적은 없습니다. 어떤 기능인지 둘러보실까요?

셸에서 멀티라인 명령어 편집하고 실행하기

🗒 기사, 2019-01-29 - 셸에서 긴 명령어를 다루는 일은 어려운 일입니다. 긴 명령어를 입력하다보면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복사해서 붙여넣어봐도 이상하게 입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에디터에서 긴 명령어를 편집하고 셸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면 좀 더 편리하지 않을까요? Bash와 Zsh에는 이미 이 기능이 준비되어있습니다.
'좋은 기술 블로그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8가지 제언' 대표 이미지

좋은 기술 블로그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8가지 제언

🗒 기사, 2019-01-17 - 좋은 블로그를 정의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히 좋은 블로그가 존재하고 다른 블로그와는 다른 무언가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술 블로그를 중심으로, 좋은 블로그를 만들어나가기 위한 8가지 방법을 제언합니다.
'44bits.io의 2018년, 그리고 2019년 새해인사' 대표 이미지

44bits.io의 2018년, 그리고 2019년 새해인사

🗒 기사, 2019-01-15 - 세상에는 많은 정보가 있지만 한국어로 작성된 온라인에서 곧바로 접근 가능한 잘 정리된 글은 생각만큼 많지 않습니다. 이러한 빈 틈을 조금이나마 메워보려는 목표와 함께 44bits는 지난 6월 첫 글을 올리며 시작되었습니다. 2018년 한 해를 되돌아보고, 2019년 새해 인사를 드립니다.

왜 굳이 도커(컨테이너)를 써야 하나요? - 컨테이너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기사, 2019-01-14 - 컨테이너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서버를 운영하는 표준적인 기술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사용해본다면 그 장점이 잘 와닿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왜 굳이 도커 컨테이너를 사용해야할까요? 이 글에서는 눈송이 서버를 넘어 컨테이너가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운영에 있어 어떤 장점이 있는지 알아봅니다.

AWS 람다(AWS Lambda) 커스텀 런타임 만들기(feat. 루비 2.6.0)

🗒 기사, 2019-01-04 - AWS 람다에서 공식 지원하지 않는 언어나 버전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커스텀 런타임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직 AWS 람다에서 공식 지원하고 있지 않은 루비 2.6 최신 버전을 커스텀 런타임 기능을 사용해 실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WS 람다 레이어(AWS Lambda Layers)를 다른 계정이나 조직과 공유하기

🗒 기사, 2019-01-03 - 리인벤트(re:Invent) 2018에서는 AWS 람다의 새로운 기능으로 람다 함수들 간의 공통 부분을 공유할 수 있는 람다 레이어를 발표했습니다. 람다 레이어는 하나의 계정에서 공통 부분을 분리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지만 다른 조직이나 계정과 공유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람다 레이어를 다른 계정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다시 보는 2018 한국의 주요 개발 / 테크 컨퍼런스들

🗒 기사, 2018-12-21 - 올해도 국내에서 다양한 컨퍼런스들이 열렸습니다. 그 중에서 영상으로 다시 보기 가능한 컨퍼런스들을 소개합니다. AWS 서울 서밋 2018,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 오픈인프라 데이, 파이콘, if (kakao) dev,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 구글 클라우드 서밋, 프론트엔드 컨퍼런스 코리아, 렛츠 스위프트, AWS 데브데이.

아마존 엘라스틱캐시(Elasticache)의 멤캐시디(Memcached) 클러스터 스케일 아웃

🗒 기사, 2018-12-17 - 아마존의 엘릭스틱 캐시는 키 멤캐시디와 레디스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들을 사용해 신뢰도 높은 키-밸류 캐시를 구축하는 것이 손쉽게 가능합니다. 이러한 캐시 서버는 스케일 업과 스케일 아웃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스케일 아웃을 하는 방법과 스케일 아웃 시 주의해야할 점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AWS 파게이트(AWS Fargate) 시작하기: ECS 매니지드 컨테이너

🗒 기사, 2018-12-11 - AWS 파게이트(Fargate)는 Amazon ECS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실행 방식 중 하나입니다. 기존에는 EC2 기반의 컨테이너 인스턴스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했습니다만, 파게이트를 사용하면 인스턴스 없이 컨테이너를 독립적으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WS 파게이트를 소개하고 사용하는 법을 알아봅니다.

scratch 도커 이미지를 활용한 초경량 이미지 만들기

🗒 기사, 2018-12-10 - C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를 동적 링크 컴파일한 경우와 정적 링크 컴파일한 경우로 나눠서 chroot로 실행해봅니다. 그리고 도커(Docker)의 scratch 이미지를 기반으로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법을 소개합니다.

AWS 리인벤트(re:Invent) 주요 키노트 세션 소개

🗒 기사, 2018-12-05 - 2018년 11월에는 AWS re:Invent 2018이 열렸습니다. 일주일간 진행되는 리인벤트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들이 쏟아져나오는데, 그만큼 다양한 키노트가 준비되어있습니다. 키노트 구성을 이해하면 리인벤트를 좀 더 알차게 즐길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기초 - chroot를 사용한 프로세스의 루트 디렉터리 격리

🗒 기사, 2018-12-03 - chroot는 프로세스의 루트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리눅스 시스템콜/명령어입니다. 루트를 변경함으로써 아주 기초적인 단계의 컨테이너를 구현해볼 수 있습니다. chroot는 아주 단순한 프로그램입니다만, 루트가 달라지면 프로세스의 동작 방식 달라져 실제로는 사용하기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이 글에서는 chroot의 기본적인 원리와 사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HashiCorp 한국 사용자 모임 첫 번째 밋업 개최 및 발표 자료

🗒 기사, 2018-11-27 - 2018년 7월 28일에 첫 번째 하시코프 한국 사용자 모임 첫 번째 밋업이 열렸습니다. 발표영상과 발표자료를 간단한 요약과 함께 정리했습니다.

HashiCorp 한국 사용자 모임 두 번째 밋업 개최 및 발표 자료

🗒 기사, 2018-11-03 - 2018년 10월 23일에 열렸던 하시코프 한국 사용자 모임 두 번째 밋업의 발표를 간단한 요약과 함께 정리했습니다.

홈브류(Homebrew)를 사용해 맥OS(macOS)에서 특정 버전의 패키지 설치하기

🗒 기사, 2018-08-21 - 홈브류를 사용하면 맥OS(macOS)에서 쉽게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홈브류 패키지는 최신 버전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홈브류를 사용해서 특정 버전의 패키지를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direnv를 사용한 디렉토리(프로젝트) 별 개발환경 구축: 루비, 파이썬, 노드 개발 환경 구축

🗒 기사, 2018-08-13 - direnv는 디렉터리 별로 셸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디렉터리 별 환경 변수 설정 법, 루비(Ruby), 파이썬(Python), 노드(Node) 등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젝트를 셋업하는 법을 소개합니다.

구글 앱스 스크립트(Google Apps Script) 외부에서 실행하기

🗒 기사, 2018-08-02 - 구글 앱스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구글 드라이브나 G 스위트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간단한 구글 앱스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이 스크립트를 구글 드라이브 외부 환경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WS VPC 피어링: 서로 다른 VPC 간에 통신하기' 대표 이미지

AWS VPC 피어링: 서로 다른 VPC 간에 통신하기

🗒 기사, 2018-07-30 - AWS VPC를 사용해 격리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VPC 간에는 통신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피어링을 사용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VPC 피어링을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웹폰트 경량화: 폰트툴즈(fontTools)의 pyftsubset을 사용한 폰트 서브셋 만들기' 대표 이미지

웹폰트 경량화: 폰트툴즈(fontTools)의 pyftsubset을 사용한 폰트 서브셋 만들기

🗒 기사, 2018-07-23 - 폰트는 글자의 수에 비례해 용량이 커지며, 한글과 같 언어는 웹폰트의 용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폰트툴즈를 사용해 폰트의 서브셋을 만들고 웹폰트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 생성 후 해야하는 IAM 보안 조치: 루트 사용자와 IAM 사용자의 차이' 대표 이미지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 생성 후 해야하는 IAM 보안 조치: 루트 사용자와 IAM 사용자의 차이

🗒 기사, 2018-07-19 - 하나의 AWS 계정은 루트 사용자와 다수의 IAM 사용자로 구성된 다중 사용자 환경입니다. 아마존에서는 루트 계정을 사용하기보다는 IAM 사용자를 만들어 권한을 관리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중심으로 계정 생성 후에 적용해야하는 보안 조치들을 소개합니다.
'AWS ECS로 시작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대표 이미지

AWS ECS로 시작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 기사, 2018-07-18 - 컨테이너는 격리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컨테이너를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스케줄링과 관리를 위한 도구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AWS에서 제공하는 매니지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인 ECS를 소개합니다.

AWS CLI로 기본 VPC 관련 리소스들 탐색하기

🗒 기사, 2018-07-17 - AWS 계정을 생성하면 VPC를 비롯한 여러 네트워크 자원이 함께 만들어집니다. 이 때 만들어지는 리소스들을 AWS CLI로 탐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아마존 ECS 클러스터 인스턴스와 서비스용 IAM 역할

🗒 기사, 2018-07-16 - 아마존 ECS는 도커 기반의 매니지드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입니다. ECS의 클러스터 인스턴스와 서비스는 적절한 권한이 주어져야만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 IAM 역할들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도커(Docker) 컨테이너 로케일 설정: 데비안(Debian), 우분투(Ubuntu) 이미지에서 한글 입력 문제' 대표 이미지

도커(Docker) 컨테이너 로케일 설정: 데비안(Debian), 우분투(Ubuntu) 이미지에서 한글 입력 문제

🗒 기사, 2018-07-12 - 도커 우분투, 데비안 이미지에서는 기본적으로 한글 입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로케일 설정을 UTF-8로 지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로케일 개념과 함께 도커 이미지/컨테이너에서 로케일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커맨드라인 JSON 프로세서 jq : 기초 문법과 작동원리' 대표 이미지

커맨드라인 JSON 프로세서 jq : 기초 문법과 작동원리

🗒 기사, 2018-07-05 - jq는 커맨드 라인 JSON 프로세서입니다. JSON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를 필터링하거나 변형합니다. jq의 기본적인 문법과 작동 원리를 소개합니다.

아마존 웹서비스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AWS CLI) 기초

🗒 기사, 2018-06-25 -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는 공식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 AWSCLI를 제공합니다. AWSCLI를 사용하면 명령줄에서 직접 AWS의 기능을 호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AWSCLI를 설치 및 설정하고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 IAM 사용자의 액세스 키 발급 및 관리

🗒 기사, 2018-06-09 -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은 하나의 루트 계정과 다수의 IAM 사용자로 구성됩니다. 각 사용자는 자신의 권한으로 외부에서 API를 호출할 수 있는 토큰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액세스 키를 발급하고 관리하는 법을 소개합니다.

Peco 사용법: 커맨드라인 텍스트 증분검색 필터링 도구

🗒 기사, 2015-12-09 - 페코(peco)는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받은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서 증분검색을 수행하는 도구입니다. 페코는 파일 탐색이나 다른 프로세스의 출력 결과를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셸의 사용성을 개선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페코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셸에서 입력한 명령어 히스토리를 증분검색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루비(Ruby): 블록, Proc 객체, 람다 함수의 차이

🗒 기사, 2015-12-07 - 프로그래밍 언어 루비에서는 블록 문법이 많이 활용됩니다. 블록 문법은 루비의 익명 함수 표현법 중 하나입니다. 루비에는 블록 뿐만아니라 Proc 객체나 lambda 문을 통해서도 익명 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블록 문법, Proc 객체, 람다 함수의 사용법과 차이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패커(Packer)를 사용한 도커 이미지와 AMI 만들기(feat. Ansible)

🗒 기사, 2015-09-30 - 패커는 하시코프에서 만든 범용 가상머신, 컨테이니 이미지 생성 도구입니다. 패커는 시스템의 특정 상태를 저장하는 대신 복원 가능한 방식으로 이미지 생성을 자동화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 글에서는 패커를 사용해 도커 이미지와 AMI 이미지를 빌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덱셋(Deckset): 마크다운(Markdown) 기반 프레젠테이션 제작 도구

🗒 기사, 2015-08-29 - 키노트(Keynote)와 파워포인트(PowerPoint)와 같은 전통적인 프레젠테이션 도구들은 높은 표현성을 가지고 있지만 슬라이드를 한땀 한땀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번거롭습니다. 덱셋은 마크다운을 조금 확장해서 텍스트만으로 프레젠테이션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덱셋의 사용법과 장점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서버스펙(Serverspec)을 사용한 도커 이미지 테스트 자동화: 인프라스트럭처 테스트 프레임워크

🗒 기사, 2015-07-07 - 구성 관리 도구는 서버의 상태를 코드로 기술하고 관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서버를 관리할 때도 소프트웨어에 사용할 수 있는 기법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서버스펙(Serverspec)은 루비의 테스트 프레임워크인 R스펙(RSpec)을 확장한 인프라스트럭처 테스트 도구입니다. 서버스펙을 사용하면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듯이 인프라스트럭처도 테스트하는 게 가능해집니다. 이 글에서는 서버스펙을 사용해 도커(Docker) 이미지 테스트 방법을 소개합니다.

엘라스틱서치와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은전한잎(eunjeon) 사용법

🗒 기사, 2015-06-12 - 엘라스틱서치는 아파치 루씬 기반의 검색엔진입니다. 검색엔진에서는 텍스트를 미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인덱스하고 이 인덱스를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합니다. 한국어 인덱스 작성을 위해서는 형태소 분석기와 같은 도구를 분석기로 사용해야합니다. 이 글에서는 엘라스틱서치에서 오픈소스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은전한잎을 사용해 인덱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launchctl 사용법: 맥OS에서 서비스 등록하기

🗒 기사, 2015-05-13 -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해놓고 사용하곤 합니다. 하지만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맥OS에서는 이러한 경우 서비스로 등록해두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launchctl을 사용해 주피터 노트북을 서비스로 등록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주피터(Jupyter)의 다중 커널 기능 - 파이썬2와 파이썬3 커널 등록하기

🗒 기사, 2015-05-07 - 아이파이썬 노트북(IPython Notebook)은 이제 주피터(Jupyter)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아이파이썬과의 가장 차별적인 특징은 명령어를 해석하는 커널을 여러 개 등록해놓고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주피터 노트북에서 여러가지 프로그래밍 언어의 커널은 물론 파이썬 버전 별로 커널을 등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파이썬 2 커널과 파이썬 3 커널을 동시에 등록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D3.js 기초: select()와 enter() 함수 이해하기

🗒 기사, 2015-02-04 - 자바스크립트 시각화 라이브러리 D3.js에는 select API가 있습니다. 이 함수는 제이쿼리(jQuery)의 select와도 비슷합니다만, 실제로는 작동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 이 함수는 시각화할 대상을 선택하는 함수로 D3.js의 모든 시각화가 시작되는 함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elect 함수의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합니다.

xclip으로 터미널에서 클립보드 활용하기

🗒 기사, 2014-07-29 - GUI 환경과 CLI 환경 사이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생각보다 까다로운 일입니다. 리눅스의 X클립(XClip은)이 두 환경의 클립보드를 연동해주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이 글에서는 X클립을 사용해 GUI 클립보드의 내용을 터미널에서 붙여넣기 하는 방법과 터미널의 문자열을 GUI 클립보드로 복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그라파이트(Graphite)와 그라파나(Grafana)로 메트릭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하기

🗒 기사, 2014-07-25 - 그라파이트(Graphite)는 파이썬(Python) 기반의 메티릭스 수집 및 모니터링 도구입니다. 그라파이트는 다수의 모듈로 구성되어있어서 처음 접하면 구조를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라파이트의 아키텍처를 소개하고 도커를 사용해 각 모듈을 설치하고 연동하는 법을 소개합니다. 또한 그라파나(Grafana)를 사용해 그라파이트의 대시보드를 만들어봅니다.

의존성 관리 도구 캐스크(Cask)를 사용한 이맥스(Emacs) 환경설정

🗒 기사, 2014-06-01 - 이맥스(Emacs)를 확장하는 방대한 패키지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패키지들을 설치하다보면 관리가 점점 더 어려워집니다. 캐스크(Cask)는 이맥스 개발환경의 의존성을 관리해주는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캐스크를 사용해서 이맥스 사용자 환경설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도커 레지스트리(Docker Registry): 프라이빗 도커 이미지 저장소 - 설치부터 S3 연동까지

🗒 기사, 2014-05-08 - 도커(Docker)의 이미지는 도커 레지스트리(Docker Registry) 서버로 공유하는 게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프라이빗 도커 이미지 저장소 서버 직접 설치하는 방법과 AWS S3와 연동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맥스에서 JavaScript 정적 분석기 Tern 사용법

🗒 기사, 2014-03-12 - 턴(Tern)은 자바스크립트의 정적 분석을 수행하는 서버입니다. 이맥스와 같은 텍스트 에디터에서는 턴 서버와 연동 가능한 패키지를 통해 문법 체크와 자동 완성과 같은 자바스크립트 지원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턴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과 이맥스와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깃허브(GitHub) 웹훅을 활용해 슬랙(Slack)에 이벤트 전달하기

🗒 기사, 2014-01-30 - 웹훅 기능을 사용하면 깃허브(GitHub)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다른 서버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웹훅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간단한 서버를 구현하고, 슬랙에 깃허브 이벤트를 알리는 기능을 구현해봅니다.

커맨드라인에서 깃허브 풀리퀘스트 보내기(feat. hub)

🗒 기사, 2013-12-29 - 깃허브(GitHub)는 깃(Git) 저장소를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깃허브에서는 깃허브의 기능을 커맨드라인에서 구현한 허브(Hub)라는 도구를 제공하고 잇습니다. 이 글에서는 허브를 사용해 깃허브 저장소를 만들고 풀리퀘스트를 보내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R스펙(RSpec)과 가드(Guard)를 활용한 루비(Ruby) 테스트 자동화

🗒 기사, 2013-10-02 - 루비에서는 주로 R스펙(RSpec)을 사용해 테스트를 작성합니다. 하지만 코드를 고칠 때마다 테스트를 매번 실행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입니다. 테스트 실행을 자동화할 수 있는 도구인 가드(Guard)를 소개합니다.

깃허브(GitHub) 에코시스템 - 코드 클라이메이트(Code Climate), 젬나시움(Gemnasium), 트래비스CI(TravisCI), 커버럴스(Coveralls)

🗒 기사, 2013-10-02 - 깃허브 프로젝트와 연동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코드 메트릭스 측정을 위한 코드 클라이메이트, 의존성의 최신 여부를 알려주는 젬나시움, 지속적 통합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트래비스CI, 테스트 커버리지 관리를 위한 커버럴스 서비스를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