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에서는 RDS, 엘라스틱캐시, 다이나모DB, 넵튠, 레드시프트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지만 아쉽게도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가 없었는데, 1월 9일 몽고DB 호환 문서 데이터베이스인 아마존 도큐먼트DB를 발표했습니다.
-
AWS 람다는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입니다. re:Invent 2018에서는 루비 런타임 지원, ALB 타깃 그룹 타입 추가와 더불어 람다 레이어라는 새로운 기능을 발표했습니다. 람다 레이어는 람다 함수의 의존성을 분리하거나 함수간의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루비는 마츠모토 유키히로 씨가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올 해로 20년을 맞이한 루비 언어는 매년 12월 25일(크리스마스)에는 루비의 새로운 버전을 릴리즈 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그리고 올 해도 예정대로 루비 2.6이 릴리즈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루비 2.6의 주요한 변경사항들을 소개합니다.
-
올해도 국내에서 다양한 컨퍼런스들이 열렸습니다. 그 중에서 영상으로 다시 보기 가능한 컨퍼런스들을 소개합니다. AWS 서울 서밋 2018,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 오픈인프라 데이, 파이콘, if (kakao) dev,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 구글 클라우드 서밋, 프론트엔드 컨퍼런스 코리아, 렛츠 스위프트, AWS 데브데이.
-
AWS 람다를 외부에 HTTP(S) 프로토콜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를 사용해야만 했습니다. re:Invent 2018 기간 중에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 타깃그룹의 새로운 타깃 타입으로 AWS 람다 타입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ALB 리스너로 람다가 연결된 타깃그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WS 파게이트(Fargate)는 Amazon ECS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실행 방식 중 하나입니다. 기존에는 EC2 기반의 컨테이너 인스턴스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했습니다만, 파게이트를 사용하면 인스턴스 없이 컨테이너를 독립적으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WS 파게이트를 소개하고 사용하는 법을 알아봅니다.
-
올 해도 re:Invent 2018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발표했습니다. AWS 람다에서는 드디어 프로그래밍 언어 루비가 공식 지원됩니다. 또한 커스텀 엔진을 지원함으로서 공식 지원하지 않는 언어들도 사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여기서는 루비 코드를 람다에서 실행하는 간단한 예제를 소개합니다.
-
chroot는 프로세스의 루트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리눅스 시스템콜/명령어입니다. 루트를 변경함으로써 아주 기초적인 단계의 컨테이너를 구현해볼 수 있습니다. chroot는 아주 단순한 프로그램입니다만, 루트가 달라지면 프로세스의 동작 방식 달라져 실제로는 사용하기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이 글에서는 chroot의 기본적인 원리와 사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
AWS에서는 VPC 간의 통신을 위한 VPC 피어링을 지원합니다. 이전에는 같은 리전의 VPC 간에만 VPC 피어링이 가능했지만, 2017년 11월부터 서로 다른 리전의 VPC 간에도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는 VPC 피어링 기능이 새롭게 릴리즈 되었습니다. 또한 2018년 7월에는 서울 리전에서도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