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 버추얼 프라이빗 클라우드(Amazon VPC)는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의 가장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이자 리소스입니다. AWS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리소스들은 아마존 VPC를 기반으로 실행됩니다. 따라서 VPC를 이해하고 있어야 AWS 서비스를 십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본 VPC와 같은 구성을 직접 만들어보면서 VPC의 기본 개념과 리소스들을 소개합니다.
-
5월 10일 깃허브에서는 깃허브 패키지 레지스트리 베타를 발표했습니다. 패키지 레지스트리는 언어 별로 생성된 패키지를 저장 및 배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NPM, 메이븐, 누겟, 루비젬, 도커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현재 베타 버전으로 사용하려면 별도의 신청이 필요합니다.
-
아마존 S3에서는 현재 경로 형식과 가상 호스트 형식 두 가지 방식의 객체 지정이 가능합니다. 2020년 9월 30일부터 AWS의 S3에 대한 경로 형식의 API 요청이 동작하지 않도록 변경됩니다. 이에 따라 AWS에서는 최신 SDK를 사용하고 경로 형식을 사용하는 코드를 변경하도록 권장하였습니다.
-
우분투 14.04 트러스티 타르 LTS 버전이 2019년 4월 30일 부로 지원 종료되었습니다. 우분투의 LTS 버전은 릴리즈로부터 총 5년 간의 업데이트를 보장합니다. 공식 지원이 종료되더라도 캐노니컬(Canonical)의 유료 서비스를 통해서 3년 간 추가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AWS 시스템 매니저에서는 구성 데이터 관리를 위한 파라미터 스토어 서버스를 제공합니다. 이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여러가지 제약들이 있습니다. AWS에서는 이러한 제약에서 좀 더 자유로운 유료로 사용할 수 있는 고급 파라미터와 추가 API 처리량을 지원 등을 발표했습니다.
-
CNCF는 지난 4월 11일 Fluentd가 졸업(Graduated) 단계 프로젝트가 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오픈소스 로깅 프로젝트인 Fluentd는 CNCF 프로젝트 중에 쿠버네티스(Kubernetes),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엔보이(Envoy), 코어DNS(CoreDNS), 컨테이너d(containerd)에 이은 여섯 번째 졸업 단계 프로젝트가 되었습니다.
-
셸에서 긴 명령어를 다루는 일은 어려운 일입니다. 긴 명령어를 입력하다보면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복사해서 붙여넣어봐도 이상하게 입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에디터에서 긴 명령어를 편집하고 셸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면 좀 더 편리하지 않을까요? Bash와 Zsh에는 이미 이 기능이 준비되어있습니다.
-
세상에는 많은 정보가 있지만 한국어로 작성된 온라인에서 곧바로 접근 가능한 잘 정리된 글은 생각만큼 많지 않습니다. 이러한 빈 틈을 조금이나마 메워보려는 목표와 함께 44bits는 지난 6월 첫 글을 올리며 시작되었습니다. 2018년 한 해를 되돌아보고, 2019년 새해 인사를 드립니다.
-
AWS 파게이트는 AWS ECS 상에서 컨테이너를 인스턴스 없이 실행하는 서비스입니다. 파게이트는 가격이 비싼 편이었는데 대폭적인 가격 인하를 발표했습니다. 서울 리전을 포함해 1월 7일부터 기존 자격 대비 vCPU는 20%, 메모리는 65% 단위 가격을 인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