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JAN 2019

[뉴스] AWS 파게이트 가격 30%-50% 인하 발표 vCPU 20%, 메모리 65% 인하. 서울 리전을 포함해 1월 7일부터 적용

· AWS 파게이트는 AWS ECS 상에서 컨테이너를 인스턴스 없이 실행하는 서비스입니다. 파게이트는 가격이 비싼 편이었는데 대폭적인 가격 인하를 발표했습니다. 서울 리전을 포함해 1월 7일부터 기존 자격 대비 vCPU는 20%, 메모리는 65% 단위 가격을 인하합니다.
10 JAN 2019

[뉴스] AWS, 몽고DB 호환 아마존 도큐먼트DB 발표

· AWS에서는 RDS, 엘라스틱캐시, 다이나모DB, 넵튠, 레드시프트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지만 아쉽게도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가 없었는데, 1월 9일 몽고DB 호환 문서 데이터베이스인 아마존 도큐먼트DB를 발표했습니다.
09 JAN 2019

[뉴스] 깃헙 새로운 가격 정책 및 엔터프라이즈 플랜 발표 이제 무료 사용자도 비공개 저장소를 무제한 사용 가능

· 깃헙(GitHub)에서 새해를 맞이해 달라지는 변경사항을 공지했습니다. 이제 무료 플랜에서도 비공개 저장소를 무제한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단, 협업은 3명까지만 가능합니다. 기존의 서비스형과 설치형으로 나누어져있던 엔터프라이즈 서비스가 통합되었습니다.
04 JAN 2019

AWS 람다 커스텀 런타임 만들기(feat. 루비 2.6.0)

· AWS 람다에서 공식 지원하지 않는 언어나 버전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커스텀 런타임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직 AWS 람다에서 공식 지원하고 있지 않은 루비 2.6 최신 버전을 커스텀 런타임 기능을 사용해 실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03 JAN 2019

AWS 람다 레이어 공유하기 AWS 람다 함수의 공통 부분을 다른 계정이나 조직과 공유하는 방법

· 리인벤트(re:Invent) 2018에서는 AWS 람다의 새로운 기능으로 람다 함수들 간의 공통 부분을 공유할 수 있는 람다 레이어를 발표했습니다. 람다 레이어는 하나의 계정에서 공통 부분을 분리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지만 다른 조직이나 계정과 공유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람다 레이어를 다른 계정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26 DEC 2018

[뉴스] AWS 람다 레이어 사용법

· AWS 람다는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입니다. re:Invent 2018에서는 루비 런타임 지원, ALB 타깃 그룹 타입 추가와 더불어 람다 레이어라는 새로운 기능을 발표했습니다. 람다 레이어는 람다 함수의 의존성을 분리하거나 함수간의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25 DEC 2018

[뉴스] 루비 2.6 릴리즈 및 주요 문법 변경 사항 소개

· 루비는 마츠모토 유키히로 씨가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올 해로 20년을 맞이한 루비 언어는 매년 12월 25일(크리스마스)에는 루비의 새로운 버전을 릴리즈 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그리고 올 해도 예정대로 루비 2.6이 릴리즈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루비 2.6의 주요한 변경사항들을 소개합니다.
21 DEC 2018

다시 보는 2018 한국의 주요 개발 / 테크 컨퍼런스들

· 올해도 국내에서 다양한 컨퍼런스들이 열렸습니다. 그 중에서 영상으로 다시 보기 가능한 컨퍼런스들을 소개합니다. AWS 서울 서밋 2018,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 오픈인프라 데이, 파이콘, if (kakao) dev,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 구글 클라우드 서밋, 프론트엔드 컨퍼런스 코리아, 렛츠 스위프트, AWS 데브데이.
18 DEC 2018

[뉴스] re:Invent 2018 - ALB 타깃그룹의 새로운 타입으로 AWS 람다 추가

· AWS 람다를 외부에 HTTP(S) 프로토콜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아마존 API 게이트웨이를 사용해야만 했습니다. re:Invent 2018 기간 중에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 타깃그룹의 새로운 타깃 타입으로 AWS 람다 타입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ALB 리스너로 람다가 연결된 타깃그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7 DEC 2018

아마존 엘라스틱캐시의 멤캐시디 클러스터 스케일 아웃

· 아마존의 엘릭스틱 캐시는 키 멤캐시디와 레디스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들을 사용해 신뢰도 높은 키-밸류 캐시를 구축하는 것이 손쉽게 가능합니다. 이러한 캐시 서버는 스케일 업과 스케일 아웃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스케일 아웃을 하는 방법과 스케일 아웃 시 주의해야할 점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11 DEC 2018

AWS 파게이트(AWS Fargate) 시작하기ECS 매니지드 컨테이너

· AWS 파게이트(Fargate)는 Amazon ECS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실행 방식 중 하나입니다. 기존에는 EC2 기반의 컨테이너 인스턴스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했습니다만, 파게이트를 사용하면 인스턴스 없이 컨테이너를 독립적으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WS 파게이트를 소개하고 사용하는 법을 알아봅니다.
10 DEC 2018

scratch 도커 이미지를 활용한 초경량 이미지 만들기

· C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를 동적 링크 컴파일한 경우와 정적 링크 컴파일한 경우로 나눠서 chroot로 실행해봅니다. 그리고 도커(Docker)의 scratch 이미지를 기반으로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법을 소개합니다.
05 DEC 2018

[뉴스] AWS Lambda, Ruby 언어 공식 지원프로그래밍 언어 루비(Ruby) 공식 지원을 발표

· 올 해도 re:Invent 2018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발표했습니다. AWS 람다에서는 드디어 프로그래밍 언어 루비가 공식 지원됩니다. 또한 커스텀 엔진을 지원함으로서 공식 지원하지 않는 언어들도 사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여기서는 루비 코드를 람다에서 실행하는 간단한 예제를 소개합니다.
05 DEC 2018

AWS 리인벤트(re:Invent) 주요 키노트 세션 소개

· 2018년 11월에는 AWS re:Invent 2018이 열렸습니다. 일주일간 진행되는 리인벤트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들이 쏟아져나오는데, 그만큼 다양한 키노트가 준비되어있습니다. 키노트 구성을 이해하면 리인벤트를 좀 더 알차게 즐길 수 있습니다.
03 DEC 2018

컨테이너 기초 - chroot를 사용한 프로세스의 루트 디렉터리 격리

· chroot는 프로세스의 루트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리눅스 시스템콜/명령어입니다. 루트를 변경함으로써 아주 기초적인 단계의 컨테이너를 구현해볼 수 있습니다. chroot는 아주 단순한 프로그램입니다만, 루트가 달라지면 프로세스의 동작 방식 달라져 실제로는 사용하기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이 글에서는 chroot의 기본적인 원리와 사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페이지 11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