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 생성하기

들어가며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ivce는 컴퓨팅 자원과 다양한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44bits에서도 AWS의 다양한 서비스들과 활용법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AW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론 계정이 있어야겠죠 😅? 이 글에서는 아마존 웹 서비스의 계정을 생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프리티어와 계정 생성 이후 추가적으로 해야할 일들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44BITS 소식과 클라우드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지금 5,000명 이상의 구독자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 생성을 위한 준비물

아마존 웹 서비 계정을 만들기 위해 미리 준비해야할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별한 건 없죠?

단, 체크카드도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직접 사용해보진 않았습니다. 계정 등록 이후에 체크카드(BC)로 등록해보려고 했는데 카드 번호 형식이 맞지 않는다고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가능하면 신용카드를 준비하거나, 본인이 가진 체크카드로 등록이 되지 않는 경우 해외 결제가 가능한 체크카드를 별도로 준비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신용카드의 경우에도 결제는 해외 결제로 진행됩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 생성

그럼 본격적으로 계정을 생성해보겠습니다. 아마존 계정 생성을 위해서는 먼저 아마존 웹 서비스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 메인 페이지

메인 페이지에 바로 ‘무료 계정 만들기’ 버튼이 보입니다. 이를 클릭하면 바로 계정 생성이 진행됩니다.

계정 생성 1단계: 계정 이름, 이메일, 암호 입력

첫 번째 단계입니다. AWS 계정 이름, 이메일 주소, 암호를 채워넣습니다. 계정 이름은 추후에 IAM 로그인 등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공용 계정의 경우 적절한 이름을 붙여두면 좋습니다. 개인 계정이면 본인이 원하는 아이디를 지정하면 됩니다. 위의 정보들을 입력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계정 생성 2단계: 계정 종류 선택하고 주소 정보 입력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은 크게 회사 계정과 개인 계정 2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개인 계정을 선택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주소를 입력해야하는데, 이 때 영문으로 입력해야합니다. 미리 준비해둔 영문 주소를 입력합니다. 아래 AWS 고객 동의 조건을 살펴보고 이에 동의한다면 체크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계정 생성 3단계: 결제 정보 입력

결제 정보를 입력합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의 계정은 무료로 만들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일정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마존 웹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이며, 무료 사용량을 초과할 경우 바로 요금이 청구됩니다. 따라서 미리 결제 정보를 등록해야만 계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설명에는 신용카드와 직불카드를 지원한다고 나와있습니다만, 체크카드의 경우 등록이 안 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 주소를 선택합니다.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계정 생성 4단계: 휴대폰 인증

다음으로 문자 혹은 전화를 통한 인증이 진행됩니다. 전화번호만 입력받는 것으로 보아, 이는 통신사를 이용한 본인 인증은 아니고 스팸 방지를 위한 절차로 보입니다.

계정 생성 5단계: 계획 지원 선택

아마존 웹 서비스는 상용 서비스이므로, 서포트를 통해서 항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료로 사용할 경우 우선순위가 아주 낮기 때문에 답변이 언제 올지 알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서 지원이 중요한 경우 서포트 플랜을 추가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테스트 용도나 개인 개발 용도라면 서포트 플랜을 굳이 구매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계정 생성 이후에도 추가로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 플랜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 생성 완료!

이걸로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 생성이 끝났습니다. 관리 콘솔 시작을 클릭하면,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 로그인 페이지

아마존 웹 서비스 로그인 페이지입니다. 여기에 입력해야하는 값은 앞서 계정 등록시 사용한 이메일입니다. 이 폼에 계정 이름(ID)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계정 이름을 넣으면 IAM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페이지로 이동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IAM 계정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ID가 아닌 이메일을 입력해야합니다. 이메일을 통해 로그인하는 계정을 루트 계정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자세히 다루지는 않습니다만 IAM 계정은 루트 계정 아래에 생성할 수 있는 서브 계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아무튼 결론은 이메일입니다. 이메일은 입력하고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아마존 웹 서비스 웹콘솔로 이동합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 웹 콘솔 입성

자, 이제 아마존 웹 서비스 웹 콘솔에 들어왔습니다.

무료로 사용가능한 프리 티어와 아마존 웹 서비스 요금의 이해

계정을 생성했으니 이제 아마존 웹 서비스를 사용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먼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 티어 서비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프리 티어에 대한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며, 프리 티어로 사용하더라도 다른 기준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료 등)에서 요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공식 사이트의 내용을 참고해주시기바랍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EC2 t2.micro나 RDS db.t2.micro를 프리 티어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단, 프리 티어 기간이 1년이기 때문에 1년이 지난 시점부터는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C2나 RDS를 생성해놓은 경우 특히 신경 쓸 필요가 있습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의 실제 요금 체계는 아주 복잡합니다. 거의 모든 서비스 별로 요금 페이지가 별도로 준비되어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전에도 한 번 읽어볼 필요가 있으며, 프로덕션에 도입하는 경우 꼼꼼히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C2와 RDS의 요금 페이지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DS의 경우만 해도 RDS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경우, 인스턴스 비용, 데이터 스토리지 비용, 백업 스토리지, 데이터 전송 비용이 발생하며, 인스턴스 비용의 경우에도 온디맨드와 예약 인스턴스로 다시 나뉩니다.

AWS는 요금 체계가 복잡하고 금액 상한을 별도로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계정을 관리하는데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실수나 해킹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고 과도한 요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서포트 쪽에 요청하는 경우 한 번 정도는 취소를 해준다고 알려져있지만 이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이기 때문에 무조건 해준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또한 기본 서포트 플랜의 커뮤니케이션 기간이 수주에서 1달 이상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방지하는 게 최선의 방법입니다. 사용하지 않는 리소스들은 미리 삭제해두는 게 최선입니다. 또한 직접 결제하는 경우 빌링 페이지에서 요금을 지속적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WS 요금 폭탄’과 같은 검색어로 검색해보면 다양한 사례를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노트
750시간 무료

EC2나 RDS의 경우 ’왜 750시간이지?’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루는 24시간이고, 한 달은 최대 31일입니다. 24*31=744시간으로 프리티어 t2.micro를 한달 동안 풀로 돌릴 경우 744시간에 대한 요금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750시간을 무료로 제공하면, 1대를 한달 내내 사용해도 요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마치며: 계정 생성 이후에 해야할 일들

계정을 만들고 나면 바로 AWS의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만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직 할 일들이 좀 더 남아있습니다.

아마존 웹서비스는 웹콘솔로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만, CLI나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서 사용하는 경우 액세스 키로 접근합니다. 계정 생성 과정에서 잠깐 언급했습니다만, AWS의 계정은 루트 계정과 IAM 계정으로 나뉩니다. 앞서 만든 계정은 루트 계정입니다만, 실제로 웹콘솔을 사용하거나 액세스 키를 발급하는 경우에는 IAM 계정을 별도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AM 계정 생성과 액세스 키 발급에 대해서는 다음 글들을 참고해주세요.

단순히 테스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계정을 바로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 계정을 프로덕션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계정 생성 후 바로 보안 설정들을 추가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들을 참고해주세요.

44BITS 로고

아마존 웹 서비스(AWS, Amazon Web Serivce)란?

🏷️ 키워드, 2020-01-20 - 아마존 웹 서비스는 아마존의 자회사로 같은 이름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EC2, 오브젝트 스토리지 S3, 프라이빗 클라우드 VPC, 권한 제어 IAM,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ECS, EKS 등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RSS 리더 피들리에서 최신 글을 구독할 수 있습니다.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44BITS의 새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44BITS의 다른 활동도 확인해보세요. 다양한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따뜻한 댓글 하나와 피드백은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