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JAN 2021

[키워드] 네이버 컨퍼런스 Deview란?

· Naver Deview(네이버 데뷰)는 2006년 NHN 내부 행사로 시작된 기술 컨퍼런스 행사로, 2008년부터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와 IT 기술들을 주제로 하는 IT 컨퍼런스입니다. Deview는 Developer’s View의 줄임말입니다.
22 JAN 2021

[키워드]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 셸, 터미널이란?

·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텍스트로 명령어를 입력하고 다시 텍스트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해주는 인터페이스를 가진 컴퓨팅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이 글에서는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를 소개하고 셸과과 터미널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5 JAN 2021

도커 이미지 빌드와 Dockerfile 기초 commit, diff 그리고 Dockerfile

· 도커(Docker)에서 이미지 빌드는 컨테이너와 함께 가장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미지는 컨테이너의 기반이 되는 파일들의 집합입니다. 사용자는 리눅스 배포판 이미지를 기반으로 자유롭게 프로비저닝을 하고 커스텀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도커 이미지의 기본적이 빌드 원리와 Dockerfile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14 JAN 2021

개발자를 위한 애플 실리콘 M1 맥 세팅 iTerm 2, oh-my-zsh, Homebrew, Docker

· Apple에서는 얼마 전 ARM 기반의 애플 실리콘 M1 맥 라인업을 공개하였습니다. M1 맥북에 개발환경을 구성해본 경험을 공유합니다. iTerm2, oh-my-zsh- Homebrew, Docker 등
11 JAN 2021

2020 한국의 주요 IT 컨퍼런스 다시 보기

· 2020년 한 해 동 IT 컨퍼런스들이 열렸습니다. 올해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특히 온라인으로 전환된 행사가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영상으로 다시 보기 가능한 2020년의 컨퍼런스들을 모아서 소개합니다.
11 JAN 2021

44BITS 2020년 결산 및 2021년 새해 인사 블로그, 팟캐스트, 유튜브 인기 컨텐츠 등

· 44BITS에서는 블로그, 팟캐스트,유튜브를 통해서 IT, 프로그래밍, 클라우드를 주제로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2021년 새해를 맞아 2020년 44BITS 활동을 정리하고 인기 있었던 컨텐츠들을 소개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9 NOV 2020

[뉴스] CNCF, 키밸류 스토어 etcd 프로젝트의 졸업을 발표

· 지난 11월 24일 CNCF에서는 분산 키밸류 스토어 etcd 프로젝트의 졸업을 발표했습니다. etcd 프로젝트는 2013년 코어DNS(CoreDNS)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시작하였고, 2018년 12월 CNCF에 인큐베이팅 단계의 프로젝트로 합류하였습니다. 현재는 쿠버네티스(Kubernetes)와 오픈스택(OpenStack)을 비롯한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16 NOV 2020

[뉴스] 네이버 Deview 2020,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온라인 개최

· 네이버의 개발 컨퍼런스 Deview 2020이 올 해는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 동안 온라인으로 열립니다. 데뷰 2020에서는 3일에 걸쳐 웹, 모바일, 프론트엔드, 백엔드, 클라우드, SRE, 보안/인프라, 최적화, 머신러닝/AI, 데이터 사이언스, 검색, 음성처리, 미디어 처리/플랫폼, 컴퓨터 비전, 지도/측위,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을 주제로 약 80여개의 세션이 공개될 예정입니다.
15 NOV 2020

[뉴스] if(kakao) 2020 컨퍼런스, 11월 18일부터 20일까지 온라인 개최

· 2018년 처음 시작된 if(kakao)dev 컨퍼런스가 올 해는 11월 18일부터 20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키노트는 여민수, 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가 발표하고, 3일간 개발, 서비스, 비지니스에 대한 100여개 세션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11 OCT 2020

파이썬 3.9 릴리스와 주요 변경 사항

· 2020년 10월 7일에 파이썬 3.9가 출시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파이썬 3.9에 추가된 기능과 바뀐 점을 알아보려 합니다. 릴리스 노트만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기능엔 설명을 조금 보태었습니다.
01 OCT 2020

AWS CLI 팁: 페이저 없이 실행 결과 출력하기

· 지난 2월 AWS CLI v2가 정식 공개되었습니다. 기존 AWS CLI 사용법과 크게 달라진 부분은 없습니다만, 미묘하게 달라진 것 중에 하나가 출력 결과를 볼 때 기본적으로 less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이런 프로그램을 페이저(pager)라고 하는데, 이 글에서는 출력 결과를 볼 때 페이저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01 OCT 2020

쿠버네티스에서 아마존 EFS 사용하기: efs-provisioner

· 아마존 EFS(Amazon EFS)는 AWS에서 제공하는 매니지드 NFS 서버로 여러 서버에서 동시에 같은 파일을 공유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EF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efs-provisioner의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04 SEP 2020

[키워드] nslookup이란? DNS 레코드 조회 도구

· nslookup은 리눅스, 맥OS, 윈도우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커맨드라인 명령어 중 하나로 DNS 레코드를 조회할 때 사용합니다. nslookup은 Internet Systems Consortium이 개발하고 있는 BIND에 포함되어있습니다. dig와 host 명령어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04 SEP 2020

[뉴스] 깃허브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베타 오픈 및 사용법

· 깃허브(GitHub)에서는 9월 1일 새로운 컨테이너 이미지 저장소 깃허브 컨테이너 레지스트리(GitHub Container Registry)를 발표하였습니다. 깃허브에서는 이미 깃허브 패키지 레지스트리 서비스를 통해 도커 이미지 저장소를 제공해왔습니디만 이는 깃허브 저장소에 종속된 서비스였습니다. 이와 달리 컨테이너 레지스트리의 경우 계정이나 조직 단위로 이미지를 푸시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컨테이너 레지스트리의 공개 베타 소식과 함께 기본적인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04 SEP 2020

[뉴스] 도커 허브, 미사용 이미지 보존 기간 6개월로 제한

· 도커 허브에서는 미사용 이미지 보존 기간 정책이 추가된 이용약관 개정을 발표하고, 11월 1일부터 이미지 삭제가 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새로운 이미지 보존 기간 정책에 따르며 무료 계정에서 관리중인 6개월 간 한 번도 Push나 Pull이 없었던 이미지를 삭제될 예정입니다.
페이지 3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