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egwon Nacyot Kim

당근마켓의 경영정보시스템 팀에서 Ruby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습니다.

전 당근마켓 SRE. 프로그래밍, 클라우드, 컨테이너, 코딩 에이전트에 관심이 많습니다.

총 160개의 글
13 FEB 2021

[키워드] 리눅스 네임스페이스(Linux Namespace)란?

· 리눅스 네임스페이스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시스템의 리소스를 분리해서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한 시스템의 프로세스들은 기본적으로 시스템의 리소스들을 공유해서 실행됩니다. 리눅스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면 PID, 네트워크, UTS, 마운트, Cgroup 등의 시스템 리소스를 격리해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12 FEB 2021

[키워드] veth: 리눅스 가상 이더넷 인터페이스란?

· veth는 리눅스의 가상 이더넷 인터페이스입니다. veth는 쌍으로 만들어지며 네트워크 구성에 활용할 수 있으며, ip 명령어를 이용해 생성하거나 조작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12 FEB 2021

[키워드] 클럽하우스(Clubhouse)란? 오디오 기반 소셜네트워크 앱

· 클럽하우스(Clubhouse)는 알파 익스플로레이션(Alpha Exploration Co.)에서 개발한 음성 기반 소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입니다. 현재는 아이폰만 지원되며, 초대 기반으로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2021년 1월 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한국, 일본 등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 앱 1위를 기록중입니다.
29 JAN 2021

커맨드라인 사용법따라하며 배우는 리눅스 명령어와 관습들

· 프로그래밍이나 서버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도 함께 입문하게 됩니다.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는 아주 강력하지만, 다양한 관습들과 전제들이 존재하고 있어서 입문자들에게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바로 이러한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와 셸의 기초와 관습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부디 커맨드라인 입문길이 즐거운 여정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28 JAN 2021

ip로 직접 만들어보는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와 브리지 네트워크 컨테이너 네트워크 기초 2편

·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는 프로세스 간의 네트워크를 격리해주는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리눅스에서는 ip를 사용해 네트워크를 조회하는 것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를 제어하는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 사용법과 함께 veth(가상 인터페이스)와 가상 브리지로 직접 컨테이너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해봅니다.
26 JAN 2021

UTS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한 호스트네임 격리 컨테이너 네트워크 기초 1편

· 컨테이너는 하드웨어 가상화 없이 프로세스를 격리하는 기술로 루트 디렉터리 격리와 유니온 마운트를 비롯해 리눅스 네임스페이스와 같은 리눅스의 기능들을 활용합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컨테이너의 네트워크 격리와 관련된 기술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호스트네임을 격리하는 UTS 네임스페이스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25 JAN 2021

베이그런트(Vagrant) 튜토리얼 개발 환경 공유와 가상 머신 관리를 위한 커맨드라인 도구

· 베이그런트(Vagrant) 미셸 하시모토가 루비 언어로 개발한 가상 머신 기반 개발 환경 관리 도구입니다. 커맨드라인을 통해 가상 머신을 관리하거나, 가상 머신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개발환경을 팀원들 간에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베이그런트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Vagrantfile 작성 방법, 개발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적인 프로비저닝 방법을 소개합니다.
22 JAN 2021

[키워드] 네이버 컨퍼런스 Deview란?

· Naver Deview(네이버 데뷰)는 2006년 NHN 내부 행사로 시작된 기술 컨퍼런스 행사로, 2008년부터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와 IT 기술들을 주제로 하는 IT 컨퍼런스입니다. Deview는 Developer’s View의 줄임말입니다.
22 JAN 2021

[키워드]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 셸, 터미널이란?

·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텍스트로 명령어를 입력하고 다시 텍스트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해주는 인터페이스를 가진 컴퓨팅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이 글에서는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를 소개하고 셸과과 터미널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5 JAN 2021

도커 이미지 빌드와 Dockerfile 기초 commit, diff 그리고 Dockerfile

· 도커(Docker)에서 이미지 빌드는 컨테이너와 함께 가장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미지는 컨테이너의 기반이 되는 파일들의 집합입니다. 사용자는 리눅스 배포판 이미지를 기반으로 자유롭게 프로비저닝을 하고 커스텀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도커 이미지의 기본적이 빌드 원리와 Dockerfile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11 JAN 2021

2020 한국의 주요 IT 컨퍼런스 다시 보기

· 2020년 한 해 동 IT 컨퍼런스들이 열렸습니다. 올해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특히 온라인으로 전환된 행사가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영상으로 다시 보기 가능한 2020년의 컨퍼런스들을 모아서 소개합니다.
11 JAN 2021

44BITS 2020년 결산 및 2021년 새해 인사 블로그, 팟캐스트, 유튜브 인기 컨텐츠 등

· 44BITS에서는 블로그, 팟캐스트,유튜브를 통해서 IT, 프로그래밍, 클라우드를 주제로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2021년 새해를 맞아 2020년 44BITS 활동을 정리하고 인기 있었던 컨텐츠들을 소개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9 NOV 2020

[뉴스] CNCF, 키밸류 스토어 etcd 프로젝트의 졸업을 발표

· 지난 11월 24일 CNCF에서는 분산 키밸류 스토어 etcd 프로젝트의 졸업을 발표했습니다. etcd 프로젝트는 2013년 코어DNS(CoreDNS)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시작하였고, 2018년 12월 CNCF에 인큐베이팅 단계의 프로젝트로 합류하였습니다. 현재는 쿠버네티스(Kubernetes)와 오픈스택(OpenStack)을 비롯한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16 NOV 2020

[뉴스] 네이버 Deview 2020,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온라인 개최

· 네이버의 개발 컨퍼런스 Deview 2020이 올 해는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 동안 온라인으로 열립니다. 데뷰 2020에서는 3일에 걸쳐 웹, 모바일, 프론트엔드, 백엔드, 클라우드, SRE, 보안/인프라, 최적화, 머신러닝/AI, 데이터 사이언스, 검색, 음성처리, 미디어 처리/플랫폼, 컴퓨터 비전, 지도/측위,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을 주제로 약 80여개의 세션이 공개될 예정입니다.
15 NOV 2020

[뉴스] if(kakao) 2020 컨퍼런스, 11월 18일부터 20일까지 온라인 개최

· 2018년 처음 시작된 if(kakao)dev 컨퍼런스가 올 해는 11월 18일부터 20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키노트는 여민수, 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가 발표하고, 3일간 개발, 서비스, 비지니스에 대한 100여개 세션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페이지 2 / 11